반응형
RAID 0, RAID 1, RAID 5, RAID 고급 개념 정리

1. RAID 정의
1) 개념
-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함
- 비용 절감 + 신뢰성 향상 + 성능 향상의 효과를 냄
2) 하드웨어 RAID
- 하드웨어 제조업체에서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하도록 공급
- 소프트웨어 RAID보다 안정적이고 제조업체의 기술지원을 받을 수 있음
- 가격이 비쌈
3) 소프트웨어 RAID
- 고가의 하드웨어 RAID의 대안
- 하드디스크만 있으면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방식으로 구성
- 하드웨어 RAID에 비해서 신뢰성이나 속도 등이 떨어질 수 있음
- 저렴한 비용으로 좀 더 안전한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
※ 하드웨어 RAID와 소프트웨어 RAID 이 두 방식은 물리적인 차이만 있을 뿐 동일한 개념
- RAID는 하드디스크가 묶이는 방식에 따라 레벨로 나뉘며 효율성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레벨을 결정
(성능이나 중요도 순으로 숫자가 정해지는 것이 아님)
4) 구성 방식
2. RAID 0
- 스트라이핑이라고 부름
- 두 개 이상의 하드디스크의 읽기/쓰기 기능을 함께 사용
- 데이터가 디스크에 분산된 블록으로 정렬되어 읽기/쓰기 병렬로 수행
- RAID 레벨 중 가장 빠름
- 100%의 공간 효율성.. 단,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같아야 한다. (다를 경우 작은 것을 기준으로 사용됨)
- 신뢰성 낮음
- 하나의 드라이브에 오류가 발생하면 모든 데이터 손실
2. RAID 1
- 미러링이라고 부름
- 하드디스크에 중복 저장
- 중복 저장 = 공간 두배 = 비용 두배
- 중복 저장 = 신뢰성 높음
- 하나의 디스크가 오류가 나도 다른 디스크에 데이터가 남아 있음
- 속도는 변함없음
3. RAID 5
1) RAID 1의 데이터 안정성 + RAID 5의 공간 효율성
- 최소 3개 이상의 하드디스크로 구성
- 오류가 발생할 때는 ‘패리티(Parity)’를 이용하여 데이터 복구
- 1개의 하드디스크가 고장 나더라도 원래의 데이터 추출 가능
2) 디스크 개수 -1의 공간을 사용하며 디스크 2개가 고장 나면 복구가 안됨
4. RAID 고급
1) RAID 6
- RAID 5의 방식을 개선
- 공간 효율은 RAID 5 보다 약간 떨어지지만 2개의 디스크가 동시에 고장이 났을 경우 데이터에는 이상이 없도록 하는
방식
- 최소 4개의 디스크가 필요
- 성능(속도)은 RAID 5에 비해 약간 떨어진다.
2) RAID 1+0 (= RAID 1 + RAID 0)
요기까지 정리하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

반응형
'IT > 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Tcpdump 설정 및 사용법 (0) | 2022.08.04 |
---|---|
[Linux] vi 편집기 설정 및 사용방법 (0) | 2022.08.04 |
[Linux] iptables 개념, 설정 및 옵션 정리 (3) | 2022.07.2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