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IT/Server

RAID 개념 및 종류 설명

by 핫독스 2022. 8. 2.
반응형

RAID 0, RAID 1, RAID 5, RAID 고급 개념 정리

 

1. RAID 정의

1) 개념

  •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함
  • 비용 절감 + 신뢰성 향상 + 성능 향상의 효과를 냄

2) 하드웨어 RAID

  • 하드웨어 제조업체에서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하도록 공급  
  • 소프트웨어 RAID보다 안정적이고 제조업체의 기술지원을 받을 수 있음
  • 가격이 비쌈

3) 소프트웨어 RAID

  • 고가의 하드웨어 RAID의 대안
  • 하드디스크만 있으면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방식으로 구성
  • 하드웨어 RAID에 비해서 신뢰성이나 속도 등이 떨어질 수 있음
  • 저렴한 비용으로 좀 더 안전한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

하드웨어 RAID와 소프트웨어 RAID 이 두 방식은 물리적인 차이만 있을 뿐 동일한 개념

- RAID는 하드디스크가 묶이는 방식에 따라 레벨로 나뉘며 효율성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레벨을 결정

(성능이나 중요도 순으로 숫자가 정해지는 것이 아님)

< 하드웨어 RAID >

 

4) 구성 방식

 

2. RAID 0

  • 스트라이핑이라고 부름
  • 두 개 이상의 하드디스크의 읽기/쓰기 기능을 함께 사용
  • 데이터가 디스크에 분산된 블록으로 정렬되어 읽기/쓰기 병렬로 수행
  • RAID 레벨 중 가장 빠름
  • 100%의 공간 효율성.. 단,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같아야 한다. (다를 경우 작은 것을 기준으로 사용됨)
  • 신뢰성 낮음
  • 하나의 드라이브에 오류가 발생하면 모든 데이터 손실

2. RAID 1

  • 미러링이라고 부름
  • 하드디스크에 중복 저장
  • 중복 저장 = 공간 두배 = 비용 두배
  • 중복 저장 = 신뢰성 높음
  • 하나의 디스크가 오류가 나도 다른 디스크에 데이터가 남아 있음
  • 속도는 변함없음

3. RAID 5

1) RAID 1의 데이터 안정성 + RAID 5의 공간 효율성

- 최소 3개 이상의 하드디스크로 구성
- 오류가 발생할 때는 ‘패리티(Parity)’를 이용하여 데이터 복구
- 1개의 하드디스크가 고장 나더라도 원래의 데이터 추출 가능

 

2) 디스크 개수 -1의 공간을 사용하며 디스크 2개가 고장 나면 복구가 안됨

 

4. RAID 고급

1) RAID 6

- RAID 5의 방식을 개선
- 공간 효율은 RAID 5 보다 약간 떨어지지만 2개의 디스크가 동시에 고장이 났을 경우 데이터에는 이상이 없도록 하는

방식
- 최소 4개의 디스크가 필요

- 성능(속도)은 RAID 5에 비해 약간 떨어진다.

 

2) RAID 1+0 (= RAID 1 + RAID 0)

 

 

요기까지 정리하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