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IT 직장인을 위한 알아두면 좋은 용어 모음
선배님들끼리 얘기를 나누는 용어 중에 모르는 게 너무 많아서 불편하셨죠?
열심히 공부해서 IT 업무에 빨리 적응할 수 있도록 해봅시다!!
1. 마더
- 의미: 주관사업자를 지칭, 창구라는 뜻의 일본어 마도구찌가 어원이라는 설이 있음.
- 예시: 프로젝트 마더가 어디야?
2. RFP (request for proposal)
- 의미: 제안요청서, "특정 제품을 도입할때 이런 사양으로 제안해주세요"라는 문서
- 예시: 프로젝트의 알에프피 확인해봐!!
3. Confirm
- 의미: 어떤 것에 대한 확인
- 예시: 고객사 쪽에서 이거 컨펌된거 맞지?
4. Feedback
- 의미: 의견을 주고받는다, 되돌려 받는다.
- 예시: 해당 건에 대해서 얘기를 했는데, 피드백을 못 받았다.
5. Hang
- 의미: 프로그램 수행 중 멈춰서 더 이상 진행이 되지 않는 상황을 의미
- 예시: 장비 행 걸렸어. 재부팅 필요해.
6. 현업
- 의미: '현장 업무 담당자'를 줄여서 현업이라고 한다.
7. Negotiation
- 의미: 현상을 의미하지만 실제로는 깎아달라는 의미
- 예시: 견적 좀 해당 업체와 네고해서 다시 알려줘.
8. Involve
- 의미: 어떠한 일에 참여 / 관여하다
- 예시: 박 과장이 이번 프로젝트 인발브 해줘.
9. Man / Month
- 의미: 인력 투입을 산정하는 기준 (1 맨먼스 = 한 달에 1명 투입), 한 사람(man)이 하루 8시간 한 달(month) 25일 근무하는 것을 기준
- 예시: 한 달에 10명 투입해서 6개월 만에 프로젝트가 끝난다면? 총 60 맨먼스
10. SLA (Service Level Agreement)
- 의미: 정보시스템 수요자와 공급자 사이의 상호 동의에 의하여 서비스 수준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문서화한 약정서
- 예시: A 유지보수 업체 SLA 가 정말 개판이네!!
11. Certificate
- 의미: 특정 업체에게만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해 주겠다는 확약서 또는 기술지원 확약서
- 예시: "해당 소프트웨어가 서티가 걸려 있어서 견적을 드리기는 어렵네요."
12. BMT (Benchmark Test)
- 의미: 벤치마크 테스트, 품질 성능 평가시험을 의미
- 예시: 고객사에서 비엠티 먼저 하고 도입 결정을 한다고 합니다.
13. Legacy
- 의미: 예전 시스템을 지칭하거나 특정 시스템을 제외한 일반적인 모든 시스템을 지칭
- 예시: 가상화 시스템을 도입하려면 레거시 시스템부터 익혀라!!
14. BP (Best Practice)
- 의미: 우수사례
- 예시: 타 기업의 BP를 찾아봐라!
※ Reference: 참고 사례, 레퍼런스 표현과 같이 쓰기도 합니다.
15. PM (Project manager)
- 의미: 프로젝트 총괄 책임자
- 예시: 여기 프로젝트 담당 피엠이 누구야?
16. 공동도급, 컨소시엄
1) 공동도급 : 2개 이상 회사가 임시로 결합하여 연대 조직하에 공사를 수급하여 공사 완성 후 해산(책임질 일이 생겼을 때 같이 모든 것을 지고 해결하는 것)
2) 컨소시엄 : 독립된 회사가 연합으로 법인 설립하지 않고 공사 책임과 클레임 등을 각각 독립된 회사의 계약 당사자가 책임지는 방식(각 롤을 나누어서 책임지는 것)
17. 구매시방서
- 의미: 구매에 필요한 정보를 기록한 문서
18. Customizing
- 의미: 고객이 요구하는 사항을 반영하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설정하는 것
- 예시: 해당 제품은 커스터마이징이 된 것입니다.
19. Migration
- 의미: 고객사의 환경 요소에 맞게 새롭게 도입하는 장비를 기존 환경에 알맞게 설정하는 것
- 예시: 장비 교체를 하려면 기존 장비에 정보를 신규 장비로 마이그레이션 작업이 필요합니다.
20. Agenda
- 의미: 회의 / 토론 등의 의제, 안건, 예정표, 의사일정
- 예시: 이번 발표 아젠다는? A사 인허가 과정을 위한 아젠다입니다.
21. 건 바이 건
- 의미: 동일 속성에 대해 한 건씩 대응 혹은 처리 함을 의미
- 예시: 계약은 일괄로 했지만 업무는 건 바이 건으로 처리합니다.
22. RMA (Return Merchandise Authorization)
- 의미: 제품 반송 승인 서비스, 제조사로 제품을 반송하여 서비스를 받는 방법으로 주로 제조사가 해외에 있는 경우 물품을 보내 교환, A/S 받는 경우
- 예시: 장비가 장애가 났으니까 제조사에 RMA 신청해라!!
23. EOS (End of Sales)
- 의미: 제조사가 판매 (및 생산)를 중단하는 날짜. *EOA(End of Availability) 로도 표기, 제품의 판매 활동만 중단될 뿐, 제품에 대한 버그 수정이나 업데이트 또는 공식 지원은 계속해서 지원(제조사마다 상이)
- 예시: EOS 시기 확인해서 장비 교체 준비해라!!
24. EOL (End of Life)
- 의미: 제조사가 단종하는 날짜 (수명 종료로 마케팅/유지/판매에 대한 지원 모두 중단)
25. Per-Call
- 의미: 정보시스템에 대해 기간 단위로 유지보수를 진행하지 않고, 서버나 시스템의 장애 등 필요한 경우에만 콜(call) 단위로 일회성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.
용어 정리는 계속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.
감사합니다.

반응형
'IT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노트북 덮개를 닫아도 화면 안꺼지게 하는 아주 간단한 방법!! (5) | 2022.08.19 |
---|---|
[윈도우]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윈도우 단축키 모음 (1) | 2022.08.16 |
광 케이블(Fiber Optic Cabe)과 SPF(Small Form-factor Pluggable) 개념 및 종류 (0) | 2022.07.22 |
댓글